하루휴식의 휴식시간

 

개인적으로 타이쿤 같은 게임을 선호하는 편이라 핸드폰으로도 그런 게임을 많이 찾는 편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플레이 했던 게임이 이블헌터 타이쿤 입니다.

 

 

 

타이쿤 게임치고 자유도가 낮지만 전반적인 플레이 방식과 개인적으로 느낀 장단점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1. 플레이 방식

 

다른 타이쿤, sng 계열 게임과 비슷합니다.

건물 짓고 물건 만들어서 파는 것까지는 똑같고 여기서 추가되는 요소가 용병입니다. 필요한 재료를 파는것도 용병이고, 만든 물건을 사는 것도 용병입니다.

때문에 용병한테 상당히 억지로 돈이 뺏으면(?) 돈이 안들어 오기도 합니다. 

(참고로. 억지로 뺏는 방법은 연구해 보시는게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파는 물건의 종류는 용병이 사용하는 소모품과 장비이고, 난이도가 올라갈 때마다 건물을 업그레이드 하면서 물건의 종류가 바뀌게 됩니다. 근대 이름만 달라지고 아이템의 용도나 내용은 똑같습니다.

 

 

 

2. 게임의 장점

 

-1 재료와 물건을 파는 것이 편하다

이런 게임하다보면 빨리 팔고 빨리 만드는게 플레이하기 좋은데 일단 이 게임은 그게 가능합니다.

그리고 물건을 만드는데 시간이 들어가지 않아서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재료를 사는 것도 용병한테 지시하면 원하는 대로는 흘러가니까 게임 자체가 편하게 흘러갑니다.

 

-2 마을 경영(조금 부족하지만)뿐만이 아니라 용병을 끼우는 재미도 느낄수 있습니다.

컨트롤하는 재화는 돈만 있으니 빡세지는 않고 다른 컨텐츠를 즐기기만 하면 되지만 건물 배치 이외에는 경영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단점인가...?)

용병같은 경우는 템을 맞춰주면서 강해지는 것이 보이지만 아이템으로 찾는 재미도 한계가 있습니다.

용병 아이템으로 컨셉을 잡고 키울웠지만 저는 금방 재미없어 지더군요.

 

-3 유료 재화를 많이 줘서 무과금도 충분히 가능

사실 게임을 편하게 하려면 돈을 쓰는 것이 좋겠지만 미션(?)같은 것을 많이 만들어 놔서 사실 과금을 전혀 안해도 유료 재화를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줬습니다. 때문에 과금 유도라고 느낄만한 요소는 없었습니다.

(언제부터 이런 요소가 장점으로 와닿기 시작했는지.... 찝찝하네요)

 

 

 

 

3. 게임의 단점

 

-1 게임을 끄면 시간의 흐름이 끈깁니다.

아이템을 만드는데는 시간이 안들어가고 바로 만들수 있어서 시간의 경과가 중요한 게임은 아니지만 시간이 필요한 컨텐츠가 몇가지 있고 이런 컨텐츠들은 게임을 끄면 시간이 경과되지 않습니다.

저는 이 부분이 상당히 큰 단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예를들어 가장 높은 등급의 템을 만들기 위해서 보스를 잡아야 하는데 보스 소환 쿨타임이 20분입니다. 이 20분은 게임을 켜놓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가지 않습니다. 때문에, 꼭 나오는 것이 아닌 보스 드랍템을 얻기 위해 게임 자체를 계속 켜놔야 합니다.

 

 

 

-2 난이도를 한번 경험하고 나면 나머지는 단순한 반복이다.

이 게임은 x번 환생한 용병이 몇명 있느냐에 따라서 난이도 변경을 설정할수 있습니다.(용병 환생은 5번까지 가능)

문제는 난이도마다 각각 다른 특색이 있는 것이 아니라 아이템, 몹의 이름만 다른 동일한 플레이 방식을 반복해야 합니다.

제가 중간에 이 게임을 그만둔 이유가 나중에는 이 반복성 때문에 일처럼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3 타이쿤 종류의 게임은 끝없이 진행될 수 있지만 이 게임은 그렇지 않다. (엔드 컨텐츠는 pvp.)

일반적인 타이쿤 종류의 게임은 목적이 달성되도 계속 플레이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블헌터 타이쿤은 최종 난이도에 도달되면 pvp 컨텐츠가 주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제가 마지막 5단계 난이도 가기 전에 4단계에서 그만두기는 했지만 5단계까지 간다고 달라질 것 같지가 않습니다.)

그리고 pvp가 엔드 컨텐츠라면 개인적으로는 그냥 다른 게임을 할것 같습니다.

 

 

4. 개인적인 후기

이블헌터 타이쿤, 시작하고 한 2~3일은 정말 재미있게 플레이 했습니다.

하지만 난이도가 올라가도 동일한 과정의 반복이라는 것을 느끼고 나서부터는 재미가 반감되고 그때부터 그냥저냥 시간만 보냈습니다.

제 생각에 타이쿤과 비슷한 게임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부족한것 같고, 용병을 키우는 재미도 조금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다만, 초반 경영이나 용병 키우는 재미는 있기 때문에 흥미가 간다면 한번 플레이 해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게임은 자기가 재미있으면 하는 거죠. 재미없으면 접으면 되고요.)

 

모두 즐겜하실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부케로 이무기 반자사를 돌리면서 나름대로 편한 방법을 찾으려고 시도을 많이 했습니다.
돈을 투자하면 손쉽게 해결이 되겠지만 그건 그것대로 아까워서 나름대로의 타협점을 찾으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이무기 반자사 진입 스팩과 최대한 귀찮지 않게 반자사를 할수 있는 셋팅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참고용으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이무기 반자사를 돌리고 있는 부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사진 다음부터...

 

 

 


1.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최소 스팩 (진입장벽)


1) 기태 + 매눈고쌍 착용한 200기궁 (스탯은 개인취향)

 

 

셋팅이 끝난 기마궁수는 필수 입니다. 다른 용병으로 변경이나 대체가 안됩니다.
그리고 기궁의 스탯을 취향대로 바꾸면서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기궁이 기태셋 + 매눈고쌍 끼워주고 올힘을 찍었는데 그래도 이무기를 잡는데 기궁이 3방을 때려야 합니다.
이 셋팅에서는 기궁이 이무기의 번개폭풍을 맞고 많이 죽기도 하는데 기궁 체력을 찍어주고 힐러를 더 넣어주면 안 죽을수도 있지만 반대로 이무기를 잡기위한 타격수가 늘어날 것이고 잡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게 되기 때문에 저는 그냥 올힘으로 갔습니다.
실제로 체력을 좀 찍고 힐러를 2~3명 넣어서 사냥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효율이 안좋다고 생각해서 그냥 올힘으로 만든것입니다.)

 

 

2) 제갈공명 or 유방 or 마력단약

 

 

기궁의 불화살은 MP2를 소모하는데 지속적으로 사냥을 하기위해서는 어쨌든 마나를 체워줘야 합니다.
그리고 반자사는 최대한 신경을 덜 쓰게 만들어 주는것이 좋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마나를 자동으로 체워주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고 그 방법이 패시브로 마나를 체워주는 제갈 or 유방 or 마단을 사용하는 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마단을 사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모두들 제갈이나 유방 사용하게 됬습니다.
참고로 제갈이나 유방은 패시브가 발동되는 100렙만 되도 마나를 체우는 용도로는 충분하고 반자사용이라면 마나 2000정도 맞춰주고 올체가 좋은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적어놓은 두가지는 이무기 반자사를 돌리기 위한 정말 기본적인 용병 구성입니다.
더욱 편하게, 빠르게 사냥을 하기위해서는 여기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게 됩니다.
참고로 위에 적어 놓은 것처럼 정령이나 수호부 같은 템을 없이 제갈+본케+기궁으로만 사냥을 시작하신다면 편한 사냥은 안됩니다.
10번중 2~3번은 이무기 스킬 번개폭풍에 전멸할 것이고 불사신부나 반계탕이 많이 필요할 겁니다.

 

 

 

2. 편하게 사냥하기 위한 요소 (투자 필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무기의 스킬 번개폭풍이 문제입니다.

번개폭풍에 대비해서 힐러를 더 많이 넣거나 기궁에게 체력을 찍어주면 기궁이 죽지는 않겠지만 사냥 속도가 떨어지지 않을까 싶어서 저는 그냥 올힘 기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끔씩 기궁이 2~4마리 죽은 상태로 사냥해도 문제는 없고 기궁이 3번 타격에 이무기를 잡을수 있도록 셋팅했습니다.)


1) 상급 이상의 물정
기본적으로 매눈고쌍 기궁이 이무기보다 사정거리가 길기 때문에 이속이 느려지면 피해없이 이무기를 잡을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가 되는 번개 폭풍도 공격속도가 떨어지면 스킬 빈도가 적어지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됩니다.

 

2) 청룡부
물정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너무 비싸기는 하지만 제가 물정만 가지고 사냥할 때와 비교하여 기궁이 죽는 빈도가 현저하게 줄었고 가끔씩 죽던 본케는 죽는일이 아예 없어졌습니다.

 

 

3. 이외에 참고하시면 좋을 내용

 

1) 조남 본케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저도 처음에는 기궁, 장수 셋팅에 조남을 섞어서 사냥을 했었으나 조남도 번개폭풍에 맞아죽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아서 결국에는 중남으로 옮겼습니다.
사냥 속도는 정말 빨랐지만 불사신부가 거의 필수였고, 기궁은 살아있는데 조남이 먼저 나가서 죽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조남이 시야가 넓은거 같습니다.)

중남으로 바꾼후 사냥 속도는 조금 느려졌으나 체감은 거의 안됬고 본케가 죽는 빈도가 확실하게 줄어서 저는 중남이 확실히 편했습니다.

 

현재 반자사를 돌리는 본케 중남

 

 

 

2) 기대치에 따른 조정은 항상 필요합니다.
지금 제 반자사 셋팅은 가장 위쪽에 사진처럼 힐러를 배제하고 딜을 빨리 넣는 것에 집중했습니다.
하지만 기궁이 죽는 빈도가 생각보다 많았고 귀찮은 일을 줄이기 위해서 물정과 청룡부를 추가했습니다.
이런 세세한 조정들은 개인 취향에 따라서 용병이나 셋팅을 바꾸면서 조금씩 연구해가야 가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모두 즐거하세요


 

 

거상 안에서 수많은 사냥법 중에서 요즘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뇌전주와 청룡부를 같이 사용하는 방법일 겁니다.

저도 최근이 되서야 이방법을 사용했는데 초반 컨트롤에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조금 걸렸지만 익숙해지니까 정말 편해지더군요

 

그래서 아직 이 방법을 모르시는 분들이나 얼마나 편리해지는지 의문이신 분들에게 간단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사냥법에는 총 4가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 뇌전주

9등급 이하의 몬스터를 짧은 시간 기절시킨다는 각성 뇌공의 고유 스킬입니다.

단축키인 'F'로 설명이 보입니다.

 

 

2. 청룡부

본케를 이용해서 발동시키면

몹의 이동, 공격 속도가 30% 느려지고(요게 중요합니다) / 본케와 용병의 이동, 공격 속도가 30% 빨라집니다. (다른 효과가 있지만 의미가 없죠)

 

3. 시동 무기 (발동무기?)

청룡부를 발동시키기 위해서는 본케가 몬스터에게 데미지를 주던가, 본케가 데미지를 받아야 합니다.

데미지를 받아서 발동시키는 것은 불리한 요소가 많이 때문에 데미지를 주는쪽으로 방향을 잡고 몹에게 데미지를 주기위해서 일반적으로 스킬이 일직선으로 나가는 시바의 창이나 각뇌공과 페르난도를 데리고 있으면 사용할수 있는 굉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 언급한 시바창이나 굉뇌 이외에 다른 무기들도 많지만 뇌전주가 풀리기 전에 데미지를 줘야 몹이 퍼지기 전에 이감효과를 줄수 있으므로 본케가 달려나가서 데미지를 주는 무기는 의미가 없습니다. (달려나가는 동안 이미 몹이 퍼져버립니다.)

 

저는 굉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4. 상급 이상의 물정령

상급 이상의 물정은 최소조건입니다. 물정이 있어야 이 방법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물정은 어디서든 잘 쓰이는 정령이니까 만들어 두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겁니다.

청룡부 만으로는 30%의 속도 감소 밖에 안되자만 상급 물정 혹은 최상급 물정을 활용해서 60%~65%까지 속도 저하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5. 사냥 진행법

이 네가지 요소가 종합이 되서 사냥을 진행하는데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1. 뇌전주 스킬 실전.

 : 약 2~3초 정도 몹이 움직이지 않음

 -2. 본케의 시동무기(?)로 청룡부를 발동 시킴

 : 케릭은 빨리지고 몹들은 느려집니다.

 : 여기서 물정령의 30%~35%와 청룡부의 30%가 합쳐져서 몹이 느려지는데 이게 상상이상으로 효과가 큽니다. 몹이 거의 제자리에 있습니다.

 -3. 사냥

 : 몹이 자리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몹들이 사냥 케릭의 스킬 범위에 다 들어가있으며 내 케릭은 이동이 빠르기 때문에 전반적인 사냥 속도가 상당히 빨라집니다.

 

 

사냥을 하시다가 몹이 너무 퍼져서 잡기 짜증난다거나 최대한 몹을 빨리 잡고싶다고 한번이라도 느끼셨다면 이 사냥 방법이 정말 편할겁니다.

저는 설 캐쉬 이벤트에서 청룡부를 하나 사려고 했었기 때문에 최근이 되어서야 이 방법을 접했는데 정말 편리합니다.

다만 일정 수준 이상의 사냥터에서 효율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돌쇠,인마 이하의 사냥터에서는 굳이 이 방법을 안쓰는 것이 사냥이 더 빠른것 같고 광혼 이상의 사냥터에서 효율이 나올것 같습니다. (준비가 되어 있다면 사용하는게 나을수도 있습니다.)

그럼 모두 즐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