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상 풍백셋 만들기
어느덧 광목으로 사냥한지 6개월이 다되가는데 아직도 삼미호 7/7 사냥을 하고 있어서 방수 줄일겸 풍백셋을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지금 풍백셋 시세가 25억 정도 하는것 같은데 만들수 있는 템으로 들어서 처음부터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1. 풍백의 팔찌 재료준비
풍백팔찌 재료를 찾아보니 생각보다는 저렴했습니다.
바람의 속성석 5개 / 단풍석 25개 / 망가진 손목띠 25개 / 광호갈기 25개
총비용 : 바속 1.6억 (300만x50개+조합비) + 광호갈기 0.5억 (200만x25개)
= 총 2.1억
(단풍석과 망가진 손목띠는 끈질긴 도올 사냥하면서 모은 템 사용했습니다.)
구매시기에 따라서 시세도 계속 바뀌겠지만 약 2주에 걸쳐서 최소값으로 계속 구매했습니다.
사실 여기까지만 보면 풍백셋이 왜 그렇게 비싼 것인지 이해가 안가는데 풍백 각반에서 이해가 되기 시작합니다.
2. 풍백의 각반 재료준비
이 녀석 재료값이 정말로 만만치가 않습니다.
바람의 속성석 5개 / 범자석판(방) 25개 / 광기의 뿔 25개 / 바람의 결정 25개
총비용 : 바속 1.6억 (300만x50개 + 조합비) + 범자석판(방) 0.63억 (250만x25개) + 광기의뿔 10억 (4000만x25개) + 바람의결정 0.15억 (5만 x 250개+조합비)
= 총 12.38억
(조합비가 정확하게 기억이 안나서 적당히 더했습니다.)
처음에 가격 알아보기 시작할때 광기의 뿔 최소 가격이 5천만이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3500만 정도까지 떨어지기도 하던데 싼거 1~2개 매물 나오면 바로바로 구매했고 약 한달 가까이 싼것만 찾으면서 평균 4천만 정도로 구매한것 같습니다. (처음에 4500만 하던것도 싸다고 샀는데 그러지 말걸 그랬습니다.)
범자석판(방) 가격도 널뛰기가 심한 편이라서 250만 정도일때 그냥 싹다 구매했고 바속하고 바람의 결정은 가격이 거의 변함 없더군요. 다만 전설장수 맹획이 추가되면서 소비가 많아져 가격이 오른것 같기도 합니다.
3. 풍백셋 만들기
이제 15억 가량 사용하면서 재료도 다 모았으니 노강 풍백셋이라도 만들어 봐야죠
속성장비를 만들어 주는 NPC는 욜란바오트 라는 포탈 위쪽에 '속성사_환'이 있습니다.
이제 재료를 올리고 만들면 끝입니다.
속성장비 만들때는 따로 비용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광목에게 착용!
4. 속성장비 업글 / 강화
사실 위에까지 재료값으로 끝난다면 그냥 만드는 것이 한참 남는 장사입니다. 하지만 어느 겜이나 그렇듯 될놈될의 강화가 남아있습니다.
속성장비 강화를 위해서는 '속성의 가루' 라는 재료템이 있어야 하는데 이 재료템 만드는 방법이 또 상당히 비쌉니다. 이 속성의 가루를 만들어 주는 NPC도 '속성사_환'입니다.
속성의 가루 10개 = 봉황의 깃털 + 작은속성석 4종(뇌전, 바람, 물, 불)
= 1.3억 + 1천 = 1.4억 (재료를 올려놓고 만들면 속성의 가루 10개가 만들어 짐)
강화 1회 = 속성의 가루 1개 + 해당 속성의 작은속성석 1~2개 + 100~200만
= 약 200만 (강화 1회당)
이렇게 횟수당 2천만원 정도하는 강화를 +5강이 될때까지 계속 시도해야 하기 때문에 속성장비가 비싼겁니다.
원래는 이번 이벤트로 받은 거불 봉깃을 사용하려고 했는데... 거불 봉깃은 안되더라고요. 부케까지 2개 있으니까 돈 아낀다고 엄청 기대했는데 찝찝하네요.
(거불 봉깃이라 그런지 제작하기 버튼이 활성화가 안되네요)
무튼 이번에는 돈을 너무 한번에 다써서 돈좀 다시 모아놓고 속성장비 강화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즐거하세요
'거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상 속성장비 강화 방법 (feat. 풍백셋 강화 시도) (2) | 2020.02.17 |
---|---|
거상 흉수 도올 제작 (feat. 도올 각성 재료) (1) | 2020.01.28 |
광목부 제작과 사용후기 (0) | 2020.01.11 |
거상 신용도 모으는 방법 (퀘스트와 편법) (0) | 2020.01.05 |
거상 광목천왕 만렙 달성과 렙업 사냥터 (0) | 2019.12.09 |
광목부 제작과 사용후기
항상 설 연휴때면 AK에서 신수부를 판매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기에 이번에 광목부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일단 광목부를 만들기 위한 재료를 알아보면
백호부 1장 / 백은색알 1개 / 정기의구슬(풍) 3개 / 바람의 속성석 5개 / 힘의근원 2개 / 1억지전 3장
이렇게가 필요합니다.
지금 광목부 시세가 18억 정도인걸로 알고있는데 모을수 있는것들 모으면 얼마나 아낄수 있는지도 적어보겠습니다.
1. 광목부 제작
직접 모을수 있는 템들은 직접 모아보려고 했는데 사실 몇개 없습니다.
힘의근원 - 기근/현근/백근/심정
정기의구슬 - 단풍석
(바람 속성 재료들을 모아보려고 했는데 역속성이라서 그런지 광목으로 잡기가 너무 힘들더군요, 그리고 속성석이 잘나오는 템도 아니고요)
몇개 안되지만 위에 모은 템들만 해도 약 2억정도는 아꼈을것 같습니다.
그럼 이제 힘근 만들고
바람의 속성석과 정기의 구슬(풍)도 만들고 (이거 재료살 때가 제일 아까운것 같습니다.....)
나머지 백호부와 백은색알은 캐쉬템이니까 사람들에게 구매후 1억 지전 3장도 바꿔줬습니다.
정기의 구슬 - 오색가루150만 / 정기의구슬조각 140만 / 작은바람의속성석 350만 (전설장수 나와서 너무 올랐음)
이렇게 만들어진 재료로 천왕부를 만들기 위해 수미산에 있는 NPC '제석천의 사자'에게 왔습니다. (모든 천왕부는 이 NPC에게 만듭니다.)
재료들을 올리면 이렇게 '제작' 버튼이 활성화 되고 제작만 하면 끝입니다.
총 비용을 계산해보면
= 백호부 + 백은색알 + 정기의구슬 3개 + 바람의속성석 5개 + 힘의근원 2개 + 3억 (1억지전)
= 7억 + 2.7억 + 4억 + 1.75억 + 1.1억 (기근//현근/백근/심정은 직접 모음) + 3억
= 19.55억 (사는것보다 비싸서 잘못계산한 줄 알고 계속 확인했네요)
개인적으로 모은 아이템과 캐시템 이벤트로 인해서 비용을 좀 아낄거라 생각했는데 작은바람의속성석 가격이 꽤나 오르면서 1~2억 정도 더 들어갔네요
2. 광목부 사용 후기
일반적으로 본케가 사용하는 신수부나 수호부처럼 천왕부도 착용한 사천왕이 때리거나 맞으면 발동이 됩니다.
광목부 효과는 크게 3가지입니다.
광목천왕 속성데미지 5% 증가 / 꼬마광목천왕 소환(몸빵 어느정도 가능) / 꼬마광목천왕이 일정량 이상의 데미지를 받으면 '광풍'스킬 사용
(참고로, 꼬마 광목천왕이 많이 맞아야 스킬을 사용하기 때문에 광목부를 착용하고 사냥할 때는 뇌전주를 최대한 안쓴다고 합니다 / 처음하고 막타정도만 사용)
속성데미지 증가는 삼미호 기준으로 확실하게 체감이 됩니다. 일단 딜이 늘어난것이 보이니까요.
그리고 문제가 이 꼬마광목인데, 원래 스킬 방수를 계산하고 사냥하는 광목의 특성에서 약간의 변동이 생깁니다. 조금 부족했던 딜을 보충해줘서 방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기는 한데 방향을 선택하지 못하니까 그냥 계산된 방수대로 사냥을 하게됩니다.
하지만 나중에 보스몹 잡을 때는 딜 보충을 확실하게 해줄것 같습니다.
그리고 삼미호를 사냥하면서 느낀점은 그래도 뇌전주는 섞어줘야 한다는 겁니다. 꼬마 광목이 딜을 받아야 하니까 뇌전주를 안쓰다가 진주박 맞은 광목이 죽더라고요. 결국에는 7/7 스킬 시전하던 광목이 6/7 정도로 시간이 줄기는 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일반적인 시세 18억의 역활은 못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속성데미지 5% 챙길수 있는 방법이 한정적이고 현재 최종 격수인 사천왕의 템을 맞춰준다는 의미에서는 언젠가는 맞춰줘야하는 템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최대한 저렴할 때 구매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제 각성 도올 만들어주고 풍백셋 +5강 만들어야 겠네요...
모으는건 한세월인데 하루만에 다 사용하는 걸보면 참 힘빠지네요.
그래도 모두 즐거하십쇼.
'거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상 흉수 도올 제작 (feat. 도올 각성 재료) (1) | 2020.01.28 |
---|---|
거상 풍백셋 만들기 (0) | 2020.01.13 |
거상 신용도 모으는 방법 (퀘스트와 편법) (0) | 2020.01.05 |
거상 광목천왕 만렙 달성과 렙업 사냥터 (0) | 2019.12.09 |
거상 고급천왕극 제작방법과 사용후기(feat. 제작비 정리) (0) | 2019.11.11 |
거상 신용도 모으는 방법 (퀘스트와 편법)
거상에서 신용도라는 요소는 사실 조금 애매한 포지션입니다.
낮다고 불편한 것도 없고 왜 올려야 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렇게 거의 신경을 안쓰다가 신수나 흉수를 만들 때 고용 조건 때문에 급하게 찾아보는 요소입니다.
간단하게 신용도가 필요한 컨텐츠 몇가지를 알아보면
1. 환수, 흉수를 고용에 필요한 신용도가 95
2. 신수를 고용하는데 필요한 신용도가 100
3. 몇가지 특수한 의복을 입는데 신용도가 필요
대표적인 용도는 위에 3가지 정도일것 같습니다.
그럼 가장 중요한 올리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신용도를 올리는 방법은 '퀘스트'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알고 있는 편법도 알려드리고 어떤 퀘스트를 꼭 챙기는게 좋은지도 같이 설명해 보겠습니다.
본케의 신용도 창입니다.
올려야 하는 것이 신용등급입니다.
경험치와 똑같은 방식으로 [렙-신용등급 / 경험치-신용도]로 치환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제 신용도를 올릴 수 있는 퀘스트들을 좀 자세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우선 신용도 올리실 때는 반드시 '일사천리' 드시고 하시기 바랍니다.
1. 상인 퀘스트
가장 일반적인 퀘스트 종류중에 하나 입니다.
대부분 아이템을 가져오거나 사람을 찾아가는 퀘스트이기 때문에 돈이 조금 깨질지는 몰라도 효율은 가장 좋습니다.
모든 퀘스트는 q 를 눌러서 확인할 수 있으니 신용도 작업 전에 안해놓은 퀘스트가 어떤것들이 있는지 확인 한번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퀘템을 다 사냥해서 모으는 방법도 있지만 전투퀘에서도 똑같이 해야하기 때문에 신용도를 빨리 모으고 싶다면 사시는게 좋습니다.
2. 전투 퀘스트
상인 퀘스트는 쉬운 반면에 할 수 있는 퀘스트의 수가 많지 않은 편입니다.
그래도 전투 퀘스트는 몬스터를 잡을 수만 있다면 어떻게든 진행이 가능한 퀘스트가 대부분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던 것과 같이 시간이 걸리더라도 퀘템을 모으는 방법도 있고요.
상인/전투 퀘스트에서 주는 신용도 수치가 정말 많은 편이기 때문에 꼭 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어짜피 필수적으로 해야하는 입장퀘 같은 것들은 미리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3. 반복 퀘스트
사실 예전에는 '일사천리'가 없었기 때문에 상인/전투 퀘스트를 다 깨도 신용등급 100이 안되서 귀서를 먹곤 했습니다. 국적을 바꾸면 퀘스트가 리셋되기 때문에 퀘스트를 새로 받기 위해서 였지요.
하지만 지금은 '일사천리' 덕분에 귀서를 이용한 신등 작업을 할 필요성이 적어졌고, 가장 큰 이유는 지금 설명드릴 반복 퀘스트가 생긴 덕분입니다.
'반복퀘스트'는 일일, 주간 간격을 통해 지속적으로 받을수 있는 퀘스트들입니다. 대부분의 던전에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곳저곳 많이 돌아니셔야 합니다.
설명드린 반복퀘스트는 q 퀘스트 창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아서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래도 그중에 효율이 좋은 것을 몇가지 추천을 드리자면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들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전에 인도우호도를 모으는 글을 포스팅 했었는데 비슷한 요령입니다.)
반복퀘스트 선택의 팁
-1 템을 모아야 하는 퀘스트는 제외
퀘스트템이 잘나오면 상관이 없는데, 템이 떨어지는 것은 정말 복불복이기 때문에 그냥 사서 쓰겠다 하시는 것이 아니면 그냥 몬스터 잡는 퀘들만 하시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2 한곳에 많이 할수 있는 퀘스트
반복 퀘스트를 수행하려면 온갖 던전을 돌아다녀야 합니다. 그런데 오랫동안 걸어서 도착한 던전에 퀘스트가 2개 밖에 없는 것도 맥빠짐니다. 그렇기 때문에 퀘스트 창을 통해 그 던전에서 몇개의 퀘스트 수행이 가능한지 확인하시고 가시기 바랍니다.
-3 급하지 않더라도 신용도를 올려야 한다면 주간 퀘스트는 꼭 하자
신용도 올리는 것이 정말 급하시다면 위 조건에 맞지 않아도 주간 퀘스트는 꼭 진행하세요. 받는 신용도의 수치가 정말 높습니다. 기본이 1만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일사천리로 1.5배까지 받으면 순식간에 오릅니다.
(주의, 주간퀘스트는 매주 일요일 11시, 일일퀘스트는 매일 11시에 초기화 됩니다.)
(주간퀘 npc중 하나 민쿤)
(일일퀘스트를 주는 던전 공고)
4. 편법(1) - 마을에 물건 팔기/사기
나는 돈이 많다!! 라고 하시는 분들은 마을에 아이템 사고 팔기를 해도 신용도를 올릴수 있습니다.
거상 게임상의 하루가 48분인데 (거상 게임상의 1시간 = 현실 시간 2분) 하루 단위로 물건을 사거나 팔경우 소량의 신용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일사천리를 사용했을 때, 약 2천~3천 정도까지 받을 수 있는것 같습니다.
하루에 올릴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신용도 올라가는 수치가 적어질 때 멈추면 됩니다.
5. 편법(2) - 신용도 템 먹기
가끔 먹으면 신용도를 얻을 수 있는 템들이 있습니다.
대부분 설이나 추석, 크리스마스에 등장하는 이벤트 몹들이 드랍하며 개당 100~200 정도 신용도를 올려줍니다. 거래가능 아이템이기 때문에 파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저도 신등은 아예 신경도 안쓰다가 신수 맞출때 급하게 올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혹시라도 저와 비슷한 분들이 있으시다면 참고하기 좋을 것 같아서 이것저것 써봤네요
무튼 모두 즐거하세요
'거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상 풍백셋 만들기 (0) | 2020.01.13 |
---|---|
광목부 제작과 사용후기 (0) | 2020.01.11 |
거상 광목천왕 만렙 달성과 렙업 사냥터 (0) | 2019.12.09 |
거상 고급천왕극 제작방법과 사용후기(feat. 제작비 정리) (0) | 2019.11.11 |
거상 지극히 개인적인 사천왕 비교 (0) | 2019.10.21 |